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키 페어를 생성해야합니다.

 

'.pem' 형식의 인증파일 형식으로 저장되는데

 

이 키 페어는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마다 22번 포트에 접근해서 인증을 해줄때 사용되므로,

 

잃어버리시면 안되기 때문에 잘 저장해줍니다.

 

키 이름 : 키페어 이름

MacOS 기준으로 /Users/사용자명/.ssh 경로에 저장해주고,

 

terminal에서 ec2 접속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 

$ ssh -i {YOUR_KEY_PAIR_FILE.pem} {USER_NAME}@{AWS_PUBLIC_DNS_}

제 키페어의 경로는 /Users/Gyu/.ssh/gyu_cloud.pem이 되겠죠.

 

Ubuntu의 경우 user_name의 default값은 ubuntu이며

AWS_PUBLIC_DNS_에는 해당 인스턴스의 IPv4 주소를 입력해주면 됩니다.

 

인스턴스 DNS 확인 방법은 인스턴스 세부정보를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처음 접속하면 여러 문구가 뜨는데, yes를 입력해주면 접속 가능합니다.

 

 

여기서 만약 접속이 안된다면, 인스턴스의 보안규칙에 ssh 인증 port가 바운딩 되지 않아서일 확률이 큽니다.

 

ssh는 well-known 포트인 22번포트를 사용하는데, 인스턴스를 처음 만들고 보안 그룹도 처음 만드신 경우라면 인바운딩 규칙을 설정에 들어가셔서, 22번 포트를 열어주시기 바랍니다.

 

ubuntu 관리자 이름을 바꾸면 접속 이름도 바꿀 수 있으니 참고하시고,

 

이상 ec2 인스턴스 접속 방법이었습니다.

 

 

복사했습니다!